---
id: advanced-performance-ko-KR
title: 성능 심화
permalink: advanced-performance-ko-KR.html
prev: perf-ko-KR.html
next: context-ko-KR.html
---
React를 도입하려 할 때 많은 사람이 묻는 첫 번째 질문은 React를 사용하지 않을 때처럼 애플리케이션이 빠르고 반응성도 좋을 것이냐는 것입니다. 모든 상태변화에 대해 컴포넌트의 하위 트리를 전부 다시 렌더링하는 아이디어에 대해 사람들은 이 프로세스가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만, React는 여러 가지 영리한 방법을 통해 UI를 업데이트하는데 필요한 비싼 DOM 조작을 최소화합니다.
## DOM 조정 회피
React는 브라우저에서 렌더된 DOM 하위 트리의 서술자 개념인 *가상의 DOM*을 사용합니다. 이 병렬적인 서술체는 React가 DOM 노드를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DOM 노드에 접근하는 것(JavaScript 객체를 조작하는 것보다 느리죠)을 피하게 해 줍니다. 컴포넌트의 props나 state가 변경되면 React는 새로운 가상의 DOM을 구성해 이전의 것과 비교해서 실제 DOM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결정합니다. 가능한 적게 변화를 적용하기 위해, React는 둘이 다를 경우에만 DOM을 [조정](/react/docs/reconciliation-ko-KR.html)할 것입니다.
이에 더해, React는 컴포넌트 생명주기 함수인 `shouldComponentUpdate`를 제공합니다. 이는 다시 렌더링하는 프로세스(가상 DOM 비교와 어쩌면 일어날 DOM 조정)가 일어나기 직전에 일어나며 개발자가 프로세스를 중단할 수 있게 합니다. 이 함수의 기본구현은 `true`를 반환해 React가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합니다.
```javascript
shouldComponentUpdate: function(nextProps, nextState) {
return true;
}
```
React가 이 함수를 자주 호출한다는 것을 명심하십시오. 따라서 구현체는 빨라야 합니다.
대화 스레드가 여럿 돌고 있는 메시지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해 봅시다. 오직 하나의 스레드만이 변경되었다고 가정해 보죠. `ChatThread`에 `shouldComponentUpdate`를 구현했다면 React는 다른 스레드의 렌더링 프로세스를 건너뛸 수 있습니다.
```javascript
shouldComponentUpdate: function(nextProps, nextState) {
// TODO: 현재의 대화 스레드가 이전의 것과 다른지 아닌지를 반환한다
}
```
정리하자면, React는 사용자가 `shouldComponentUpdate`를 사용해 렌더링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가상의 DOM과 비교해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해서 DOM의 하위 트리를 조정하는 비싼 DOM 조작을 피하도록 합니다.
## shouldComponentUpdate 실전
다음은 컴포넌트의 하위 트리입니다. 각각은 `shouldComponentUpdate`의 반환값(SCU)과 가상의 DOM과의 동일성(vDOMEq)을 표시합니다. 마지막으로, 원의 색은 컴포넌트가 조정되었는지를 표시합니다.
위의 예시에서, C2를 루트로 하는 하위 트리에 대해 `shouldComponentUpdate`가 `false`를 반환했기 때문에 React는 새로운 가상의 DOM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. 따라서 DOM을 조정할 필요도 없습니다. React가 C4와 C5에는 `shouldComponentUpdate`를 요청하지도 않은 것을 확인하세요.
C1과 C3의 `shouldComponentUpdate`가 `true`를 반환했기 때문에 React는 하위 노드로 내려가 그들을 확인합니다. C6는 `true`를 반환했네요; 이는 가상의 DOM과 같지 않기 때문에 DOM의 조정이 일어났습니다. 마지막으로 흥미로운 사례는 C8입니다. React가 이 노드를 위해 가상의 DOM을 작동했지만, 노드가 이전의 것과 일치했기 때문에 DOM의 조정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.
React가 C6에만 DOM 변경을 수행한 것을 확인하세요. 이는 필연적이었습니다. C8의 경우는, 가상의 DOM과 비교를 해 제외되었고, C2의 하위 트리와 C7은 `shouldComponentUpdate` 단계에서 제외되어 가상의 DOM은 구동조차 되지 않았습니다.
자 그럼, 어떻게 `shouldComponentUpdate`를 구현해야 할까요? 문자열 값을 렌더하는 컴포넌트를 생각해보죠.
```javascript
React.createClass({
propTypes: {
value: React.PropTypes.string.isRequired
},
render: function() {
return
{this.props.value}
;
}
});
```
다음과 같이 간단히 `shouldComponentUpdate`를 구현해 볼 수 있습니다:
```javascript
shouldComponentUpdate: function(nextProps, nextState) {
return this.props.value !== nextProps.value;
}
```
여기까지는 좋습니다. 간단한 props/state 구조를 다루기는 쉽습니다. 단순한 등식비교 구현을 일반화하고 이를 컴포넌트에 혼합할 수도 있습니다. 사실, React는 이미 그런 구현을 제공합니다: [PureRenderMixin](/react/docs/pure-render-mixin-ko-KR.html).
하지만 만약 컴포넌트의 props나 state가 가변적인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면 어떨까요? 컴포넌트의 prop으로 `'bar'`같은 문자열 대신에 `{ foo: 'bar' }`처럼 문자열을 포함한 JavaScript 객체를 전달받는다고 해봅시다.
```javascript
React.createClass({
propTypes: {
value: React.PropTypes.object.isRequired
},
render: function() {
return
{this.props.value.foo}
;
}
});
```
전에 구현했던 `shouldComponentUpdate`는 언제나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입니다:
```javascript
// this.props.value가 { foo: 'bar' }라고 가정합니다
// nextProps.value도 { foo: 'bar' }라고 가정하지만,
// 이 참조는 this.props.value와 다른 것입니다
this.props.value !== nextProps.value; // true
```
문제는 prop이 실제로 변경되지 않았을 때도 `shouldComponentUpdate`가 `true`를 반환할 거라는 겁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, 아래와 같이 구현해 볼 수 있습니다:
```javascript
shouldComponentUpdate: function(nextProps, nextState) {
return this.props.value.foo !== nextProps.value.foo;
}
```
기본적으로, 우리는 변경을 정확히 추적하기 위해서 깊은 비교를 해야 했습니다. 이 방법은 성능 면에서 제법 비쌉니다. 각각의 모델마다 다른 깊은 등식 코드를 작성해야 하므로 확장이 힘들어 집니다. 심지어 객체 참조를 신중히 관리하지 않는다면 작동하지도 않을 수 있습니다. 컴포넌트가 부모에 의해 다뤄지는 경우를 살펴보죠:
```javascript
React.createClass({
getInitialState: function() {
return { value: { foo: 'bar' } };
},
onClick: function() {
var value = this.state.value;
value.foo += 'bar'; // 안티패턴 입니다!
this.setState({ value: value });
},
render: function() {
return (